파이썬에서는 리스트(List)라는 자료형을 제공합니다. 리스트는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으로, 다양한 자료형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리스트에서 인덱싱(Indexing)이라는 기능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.
예제:
etc = [1004, 3.14, 'hello', True, False]
print(etc[3], etc[4])
print(etc[3:])
print(etc[-1])
print(etc[2][0])
출력 결과:
True False
[True, False]
False
h
위 예제에서는 etc
라는 리스트를 정의하고, 다양한 자료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 이 리스트에서 인덱싱을 통해 특정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etc[3]
과 etc[4]
는 각각 True
와 False
를 출력합니다. 리스트에서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, etc
리스트에서 True
는 3번째 인덱스, False
는 4번째 인덱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
etc[3:]
는 True
와 False
를 포함한 리스트 [True, False]
를 출력합니다. 콜론(:
)을 사용하면 해당 인덱스부터 끝까지의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
etc[-1]
은 리스트의 마지막 값을 출력합니다. -1
은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를 의미합니다.
etc[2][0]
은 hello
라는 문자열에서 첫 번째 문자인 h
를 출력합니다. 리스트 안에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, 문자열의 인덱싱도 가능합니다.
위와 같이 리스트 인덱싱을 통해 리스트에서 원하는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.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자료형을 포함한 리스트를 다룰 수 있으며,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위와 같이 리스트 인덱싱에 대해 설명해보았습니다. 원하시는 주제와 예제를 포함한 질문을 더욱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, 더욱 멋진 글을 작성해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.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!
'파이썬 > 파이썬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9. 리스트 연산하기 (#51) (0) | 2024.03.23 |
---|---|
38. 2차원 리스트 인덱싱하기 (#50) (0) | 2024.03.23 |
36. 리스트 생성과 인덱싱하기 (#48) (0) | 2024.03.23 |
35. 입력한 수가 2, 3, 6의 배수인지 확인하기 (#47) (0) | 2024.03.23 |
34. 입력한 수가 3의 배수인지 확인하기 (#46) (0) | 2024.03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