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/파이썬기초

14. 문자열을 정수와 실수로 변환하기 (#25)

728x90

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정수나 실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 int() 함수와 float() 함수를 사용합니다.

예제:

age = '16'
n = int(age)
m = float(age)

print(type(age), type(n), type(m))
print(age, n, m)

출력 결과:

<class 'str'> <class 'int'> <class 'float'>
16 16 16.0

위 예제에서는 age 변수에 문자열 "16"을 저장하고, int() 함수와 float()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 정수와 실수로 변환하였습니다. type() 함수를 사용하여 age, n, m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출력하였습니다. 결과적으로 age 변수는 문자열 타입(str)이고, n 변수는 정수 타입(int)이며, m 변수는 실수 타입(float)입니다.

문자열을 정수나 실수로 변환하는 것은 입력값을 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계산하거나, 비교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.


위와 같이 문자열을 정수나 실수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았습니다.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!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