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/파이썬기초

10. 자료형 확인하기 (#14, #15, #16)

728x90

파이썬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, 데이터의 자료형을 구분하여 처리합니다. 이를 위해 type()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예제:

# 14
print(len("안녕하세요"))
print(type("안녕하세요"))

# 15
print(123)
print(type(123))
print(3.14)
print(type(3.14))

# 16
print(2)
print(type(2))
print(2.0)
print(type(2.0))
print('2')
print(type('2'))

출력 결과:

# 14
5
<class 'str'>

# 15
123
<class 'int'>
3.14
<class 'float'>

# 16
2
<class 'int'>
2.0
<class 'float'>
2
<class 'str'>

위 예제에서는 len()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하고, type() 함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데이터의 자료형을 확인하였습니다.

파이썬에서는 정수형(int), 실수형(float), 문자열(str) 등 다양한 자료형을 지원하며, 이를 구분하여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, 이를 활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
위와 같이 자료형 확인에 대해 설명해보았습니다. 원하시는 주제와 예제를 포함한 질문을 더욱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, 더욱 멋진 글을 작성해드릴 수 있을 것입니다.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!

728x90